1. 한 남성이 New Jersey로 향하는 EBS Air 078편에 탑승하여 소란을 피우다 체포됐습니다.
2. 편집증이 있다고 묘사된 그 제멋대로인 남자는 자신의 목숨이 위태롭다고 주장했습니다.
3. 한 탑승객은 그가 주머니에서 뭔가를 집으려고 손을 뻗는 걸 봤다고 했습니다.
4. "한번은 그가 비행기에 폭탄이 있다고 했어요."
5. "그러고 나서, 자기가 비행기에 불을 지를 거라고 했어요."라고 언급했습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[한국어 녹음본_Recording in Korean]
■ 핵심 표현
* reach for 명사 : ~를 집으려고 손을 뻗다 》뻗는다는 느낌을 더 강하게 살리려면 reach 뒤에 out을 추가. for 대신에 to를 쓰면 도움을 받기 위해 연락한다는 뜻이 됨 - He reached for the weapon. - The suspect reached for something in his bag. - She reached for the mirror in the drawer. ※ reach for the stars : 큰 꿈을 갖다
■ 핵심 단어
arrest 체포하다 unruly 제멋대로의 paranoid 편집증이 있는( [ˈpærənɔɪd ], 실제 병이 있기 보다는 그 정도로 불안하다는 의미로도 가볍게 사용 가능) claim 주장하다 passenger 탑승객([ˈpæsɪndʒə(r)] pocket 주머니 bomb 폭탄(b는 묵음으로 취급) remark 언급하다, 말하다(mention 보다 formal한 표현)
■ 주요 표현
1. create a scene : 소란을 피우다(->진상을 부리다) 》사람들이 많은 곳에서 주의를 끓며 싸우거나 난리를 치는 행동을 표현 - He created a scene when his food came out late. - Let's not create a scene in here.
2. be in danger : 위태롭다 》남을 위태롭게 한다고 할 때는 put someone in danger를 사용(위험안에 들어가 있다) - Our lives are in danger. - You are putting everyone's life in danger.(everyone이 단수 이므로 life단수로 사용)
3. set 명사 on fire : ~에 불을 지르다 》비슷하게는 set fire to something 의 형식 사용 ( 불 위에 set하다, set - set - set) - The angry girlfriend set his passport on fire. - Somebody broke in and set the house on fire.
■ 쫑쫑만의 표현 만들기
* reach for 명사 : ~를 집으려고 손을 뻗다 1. We have to reach out for our dreams. 2. It could be possible that I reach for the star today.
* create a scene : 소란을 피우다(->진상을 부리다) 1. Why do you create a scene here? 2. I don't want to create a scene now.
* be in danger : 위태롭다 1. I thought I was in danger. 2. He doesn't want you to be in danger.
* set 명사 on fire : ~에 불을 지르다 1. I almost set our house on fire when I was young. 2. How could he set the car on fire?